전구의 교체
-
1장 내 '전구의 용량'을 참고해 규격에 맞는 비상 대비용 전구를 준비하십시오.
-
램프류를 교체하려면 반드시 안전한 곳에서 시동을 끄고 파킹 브레이크를 건 후,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한 상태에서 교체하십시오.
-
전구를 점검하거나 교체하기 전에 시동을 끄고 파킹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어 두십시오. 작업 중에 차량이 갑자기 움직이거나 전기 충격에 감전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규격에 맞지 않는 전구로 교체하면 퓨즈 단선 또는 이상 작동, 기타 배선 관련 장치의 손상,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반드시 장갑 등을 착용하십시오. 전구 표면이 뜨거우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품질이나 성능이 부적합한 전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램프 및 주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순정 부품 전구는 품질과 성능을 당사가 보증하는 부품입니다.
-
전구를 교체할 때 적절한 공구와 규격에 맞는 전구가 준비되지 않거나 교체 방법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으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교체를 받으십시오. 특히 방향지시등은 교체를 위해 임의로 차체를 분해하고 조립하다가 다른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새 전구를 장착할 때 소켓을 홀에 맞추어 시계방향으로 돌려 확실하게 장착하십시오. 바르게 장착되지 않으면 전구의 단선, 물 유입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전구가 단선되거나 손상되는 즉시 규격에 맞는 새 전구로 교체하십시오. 빼낸 전구는 주의하여 처리하십시오.
-
차량에 장착된 전구 외 램프나 LED를 추가로 장착하지 마십시오. 차량의 램프 오작동 및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퓨즈 박스나 배선 관련 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램프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전구를 분리하거나 램프 커넥터를 빼지 마십시요. 퓨즈 박스의 전기 장치가 램프 고장으로 인식하며, 클러스터에 램프 경고문이 표시되거나 고장 기록 코드(DTC)에 고장 기록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
램프류는 주행 후 세차 또는 야간 우천 주행 등의 조건에서 렌즈 안쪽에 습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은 램프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자연 현상이며 기능상의 문제는 없습니다. 램프 내부에 습기가 생겼을 때, 전조등을 켠 후 주행하면 습기가 제거됩니다. 다만, 램프의 크기, 위치, 환경 조건에 따라 습기가 제거되는 수준은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습기가 지속적으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
습기로 인해 전조등/주간주행등/차폭등/후미등/후면방향지시등 내부가 흐려지는 현상이 장기간 유지되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를 방문하십시오. 이 차량에는 습기로 인해 전조등/주간주행등/차폭등/후미등/후면방향지시등 내부가 흐려지는 것을 완화하기 위해 전조등/주간주행등/차폭등/후미등/후면방향지시등 내부에 소모성 흡습제가 포함돼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