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등 및 표시등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및 경고음

WL_SeatBeltWarningLamp

안전벨트 경고등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 ‘ON’ 되거나, 시동 'ON'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풀면 켜지고 경고음이 6초 동안 울립니다. 그 상태에서 차량 속도가 20 km/h 이상이 되면 경고등이 깜빡이면서 경고음이 다시 울립니다. 안전벨트 경고등은 안전벨트를 착용할 때까지 계속 켜져 있으며,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경고등이 즉시 꺼지고 경고음도 즉시 중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3장 내 '안전벨트'를 참고하십시오.

에어백 경고등

WL_AirbagWarningLamp

에어백 경고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에어백 및 안전벨트 프리텐셔너 장치에 이상이 없으면 3–6초 후 꺼집니다.

시동을 'ON' 해도 에어백 경고등이 켜지지 않거나, 에어백 경고등이 켜지고 3–6초가 지나도 꺼지지 않으면 에어백 및 안전벨트 프리텐셔너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브레이크 경고등

WL_BreakWarningLamp

브레이크 경고등은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브레이크에 이상이 없으면 시동 후 꺼집니다.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있어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브레이크액의 양이 부족하지 않은지 점검하고 보충하십시오. 브레이크액을 보충해도 브레이크 경고등이 계속 켜져 있는 경우에는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는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브레이크액을 보충한 후 주행하십시오.

주행 전에 브레이크 경고등이 꺼졌는지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주행 중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

브레이크 계통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이므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안전한 장소에 차를 정지시키십시오.

  1.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제동이 되지 않으면 평상시보다 페달을 강하게 밟아보십시오.

  2. 엔진 브레이크를 걸어 속도를 늦추고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십시오.

주행 중 경고등이 켜진 상태에서는 급제동하지 말고 서서히 정지하십시오.

파킹 브레이크는 천천히 조작하십시오. 파킹 브레이크를 급하게 조작하면 뒷바퀴만 제동이 되어 차가 옆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ABS 경고등

WL_ABSWarningLamp

ABS 경고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약 3초 후 꺼집니다.

3초가 지나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ABS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주행 중 ABS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

  1. 안전한 장소에 차를 세우고 엔진을 정지시키십시오.

  2. 다시 엔진을 시동하여 ABS 경고등이 켜졌다가 약 3초 후 꺼지면 이상이 없는 것입니다.

경고등이 꺼지지 않거나 주행 중 다시 켜지면 ABS 장치가 고장 난 것이므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EBD 경고등

WL_EBDWarningLamp

브레이크 경고등과 ABS 경고등이 동시에 켜진 경우, 제동력의 전후륜 배분 기능(EBD)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급제동을 할 때 차가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고속 주행이나 급제동을 피하고 곧바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ABS는 Anti-lock Brake System의 약자입니다.

  • EBD는 Electronic Brake-force Distribution의 약자입니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

WL_PowerStreeringWarningLamp

전동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약 3초 후 꺼집니다.

3초가 지나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거나 깜빡이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연료 부족 경고등

WL_LowFuelLevelWarningLamp

연료 부족 경고등은 남은 연료량이 적을 때 노란색으로 켜지고, 차량에 적용된 사양에 따라 클러스터 표시창에 경고문이 같이 표시됩니다.

연료 부족 경고등이 켜지면 즉시 연료를 보충하십시오. 연료가 완전히 소모된 상태로 주행하면 엔진 및 연료 장치가 고장 날 수 있습니다.

LPG 과충전 경고등

WL_LowFuelLevelWarningLamp

LPG 차량은 LPG가 과충전 되었을 경우 경고등이 빨간색으로 켜집니다. 경고등이 켜지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

WL_EngineOilPressureWarningLamp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은 엔진 오일이 부족하여 유압이 낮아지면 켜집니다. 주행 중에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이 켜지면 도로 옆으로 차를 안전하게 정차하고 엔진 오일양을 점검한 후 부족하면 보충하십시오.

보충 후에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이 켜진 상태로 계속 주행하면 엔진이 고장 날 수 있습니다.

엔진 오일 부족 등으로 유압이 낮아지면 경고등이 켜집니다. 또한, 엔진 출력을 제한하는 강화된 엔진 보호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유압이 회복되면 시동을 다시 걸어야 경고등이 꺼지고 엔진 출력 제한이 해제됩니다.

엔진 경고등

WL_EngineWarningLamp

엔진 경고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약 3초 후 꺼집니다.

3초가 지나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엔진 제어 장치, 연료 공급 장치 등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가능한 한 빨리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일부 엔진 제어 장치에 이상이 있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견인하십시오.

  • 엔진 경고등이 켜지거나 깜빡이는 상태로 계속 주행하면 운전 성능과 연료 소비에 영향을 주는 배기 제어 계통이 손상될 수 있으며 배기가스 규제와 관련된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 엔진 오일 잔여량이 부족하여 강화된 엔진 보호 시스템이 작동하면 엔진 출력이 제한됩니다. 반복해서 지속적으로 이 상태로 주행하면 엔진 경고등이 켜집니다.

  • 연료 캡을 완전히 잠그지 않으면 엔진 경고등이 켜질 수 있으나 이는 차량이나 부품의 고장이 아닙니다. 연료 캡을 '딸깍' 소리가 나도록 다시 잠그십시오. 다시 잠근 후에도 엔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충전 경고등

WL_ChargingSystemWarningLamp

충전 경고등은 드라이브 벨트가 끊어지거나 충전 장치에 이상이 있을 때 켜집니다.

충전 경고등이 켜진 상태로 계속 주행하면 엔진이 과열되거나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습니다.

충전 경고등이 켜졌을 때는 배터리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드라이브 벨트나 충전 계통을 점검하십시오. 점검한 후에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구동 벨트의 장력이 부족하면 충전량이 부족하여 배터리의 전력 소모가 늘어납니다. 이 경우 충전 경고등이 켜지지 않더라도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압 타이어 경고등/TPMS 경고등

WL_TPMSWarningLamp

저압 타이어 경고등/TPMS 경고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약 3초 후 꺼집니다.

시동을 'ON' 해도 경고등이 켜지지 않거나 약 1분간 깜빡인 후 켜지면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타이어 공기압이 현저하게 낮을 때에도 경고등이 켜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8장 내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TPMS)'을 참고하십시오.

  • 타이어의 공기압이 현저하게 낮으면 차량의 주행이 불안정해지며 제동 거리가 늘어나 매우 위험합니다. 항상 적절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하십시오.

  • 낮은 공기압은 타이어 과열의 원인이 됩니다. 타이어가 과열될 경우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항상 적절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하십시오.

TPMS는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의 약자입니다.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경고등

WL_EPBWarningLamp

EPB 경고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약 3초 후 꺼집니다.

3초가 지나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거나 주행 중 경고등이 켜지면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6장 내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EPB)'를 참고하십시오.

EPB는 Electric Parking Brake의 약자입니다.

자동 정차 기능(AUTO HOLD) 표시등

WL_AutoHoldWarningLamp

자동 정차 기능의 상태에 따라 다음 색상의 AUTO HOLD 표시등이 켜집니다.

  • 흰색: 자동 정차 기능이 켜진 상태(준비 상태)

  • 초록색: 주행 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이 멈추면서 자동 정차 기능이 작동할 때(다시 차량이 출발하면 흰색으로 변경됨)

  • 노란색: 자동 정차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6장 내 '자동 정차 기능 (Auto Hold)'을 참고하십시오.

전방 안전 경고등

WL_FrontSafetyWarningLamp

전방 충돌 방지 보조의 전방 안전 기능의 상태에 따라 경고등 색상이 변경됩니다.

  • 시동을 'ON' 하면 주황색 경고등이 약 3초 동안 켜졌다가 꺼집니다.

  • 주황색: 전방 안전을 설정하지 않거나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고장인 경우 경고등이 계속 켜집니다.

  • 빨간색: 전방 충돌 방지 보조의 전방 안전 기능이 작동할 때 깜빡입니다.

전방 안전 설정 후 센서 앞의 이물질을 제거해도 계속 경고등이 켜져 있으면, 가까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7장 내 '전방 충돌방지 보조 (FCA) (센서퓨전)'를 참고하십시오.

차로 안전 표시등

WL_LaneSafetyWarningLamp

차로 이탈 방지 보조의 상태에 따라 표시등 색상이 변경됩니다.

  • 시동을 'ON' 하면 주황색 경고등이 약 3초 동안 켜졌다가 꺼집니다.

  • 회색: 준비 상태가 되면 회색으로 켜집니다.

  • 초록색: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초록색으로 켜집니다.

  • 초록색 깜빡임: 차로 이탈 방지 보조가 작동할 때 깜빡입니다.

  • 주황색: 차로 안전을 설정하지 않거나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고장인 경우 표시등이 켜집니다.

차로 안전 설정 후 전방 카메라 앞의 이물질을 제거해도 표시등이 계속 켜져 있으면, 가까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7장 내 '차로 이탈방지 보조 (LKA)'를 참고하십시오.

속도 제한 표시등

WL_ISLAWarningLamp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의 상태에 따라 표시등 색상이 변경됩니다.

  • 시동을 'ON' 하면 주황색 경고등이 약 3초 동안 켜졌다가 꺼집니다.

  • 주황색: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를 끄거나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고장인 경우 경고등이 계속 켜집니다.

  •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작동 중에는 제한속도를 표시합니다. 제한속도 보다 빠르게 주행할 경우 제한속도가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전방 카메라 앞의 이물질을 제거해도 표시등이 계속 켜져 있으면, 가까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7장 내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ISLA)'를 참고하십시오.

부주의 운전 경고 표시등

WL_ConsiderTakingABreak

운전자 주의 경고의 상태에 따라 표시등 색상이 변경됩니다.

  • 시동을 'ON' 하면 주황색 표시등이 약 3초 동안 켜졌다가 꺼집니다.

  • 주황색 켜짐: 전방 카메라 가림 또는 운전자 주의 경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계속 표시등이 켜집니다.

  • 주황색 깜빡임: 운전자 주의 경고 기능이 경고 중일 때 깜빡입니다.

전방 카메라 앞의 이물질을 제거해도 표시등이 계속 켜져 있으면, 가까운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과 정비를 받으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7장 내 '운전자 주의 경고 (DAW)'를 참고하십시오.

통합 경고등

WL_MasterWarningLamp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상황이 발생하면 통합 경고등이 켜집니다. 차량에 적용된 사양에 따라 경고등이 표시되는 상황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전방 충돌 방지 보조 고장

  • 전방 충돌방지 보조 카메라 또는 레이더 가림

  •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고장

  •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레이더 가림

  •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고장

  •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카메라 가림

  • 운전자 주의 경고 고장

  • LED 전조등 고장

  • 하이빔 보조 고장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고장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레이더 가림

  • 차로 유지 보조 고장

  • 주차 충돌방지 보조 고장

  • 주차 거리 경고 고장

LED 전조등 고장 경고등

WL_LEDHeadlampWarningLamp

LED 전조등 고장 경고등은 LED 전조등에 이상이 있으면 켜지고 부품에 이상이 있으면 깜빡입니다.

표시등이 켜지거나 깜빡이는 상태로 계속 주행하면 LED 전조등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즉시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표시등

WL_ESCOperatingLamp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표시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약 3초 후에 꺼집니다.

운전 중에 ESC가 작동하면 작동하는 동안 표시등이 깜빡입니다.

시동을 ‘ON’ 후 3초가 지나도 표시등이 꺼지지 않거나 주행 중에 켜지면 ESC 장치 이상일 수 있으므로 당사 직영 하이테크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6장 내 '차체 자세 제어 (ESC) 장치'를 참고하십시오.

ESC는 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의 약자입니다.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정지 표시등

WL_ESCWarningLamp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정지 표시등은 시동을 ‘ON’ 하면 켜지고 약 3초 후에 꺼집니다.

ESC OFF 버튼을 눌러 ESC 기능을 끄면 ESC 표시등이 켜져 ESC 장치가 작동되지 않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6장 내 '차체 자세 제어 (ESC) 장치'를 참고하십시오.

공회전 제한(ISG) 시스템 표시등

WL_ISGLamp

공회전 제한(ISG) 시스템 표시등은 공회전 제한(ISG) 시스템이 작동하여 엔진이 자동으로 정지하면 켜지고, 자동으로 다시 시동이 걸리거나 공회전 제한(ISG) 시스템 OFF 버튼을 눌러 시스템을 끄면 꺼집니다.

  • 대기 상태: 흰색 표시등 켜짐

  • 작동 상태: 초록색 표시등 켜짐

  • 시스템 이상: 노란색 표시등 켜짐

자세한 내용은 6장 내 '공회전 제한 (ISG) 시스템'을 참고하십시오.

키 확인 표시등

WL_ImmobilizerLamp

키 확인 표시등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켜지거나 꺼집니다.

  • 스마트 키 또는 디지털 키가 차 안에 있을 때 시동 'ACC' 또는 'ON' 상태가 되면 표시등이 몇 초 동안 켜져 시동을 걸 수 있음을 알려줍니다.

  • 스마트 키 또는 디지털 키가 차 안에 없을 때 시동 버튼을 누르면 표시등이 몇 초 동안 깜빡이며 시동을 걸 수 없음을 알려줍니다. 이때는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비상 경고등/방향지시등

WL_TurnSignalLamp

비상 경고등 버튼을 누르면 양쪽 방향지시등이 같이 깜빡입니다.

방향지시등과 비상 경고등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느리게 깜빡이면 전구의 단선이나 접지 불량 또는 LED 방향지시등의 경우 헤드램프의 불량일 수 있으므로 점검하십시오.

미등 표시등

WL_LightOnLamp

미등 표시등은 조명 스위치를 미등 위치에 두었을 때 켜집니다.

조명 스위치가 AUTO 위치에 있으면 센서가 감지하는 외부 조건에 따라 미등 표시등이 켜지거나 꺼집니다.

전조등 상향 표시등

WL_HighBeamLamp

전조등이 켜진 상태에서 조명 스위치를 운전자 방향으로 당기거나, 클러스터 방향으로 밀었다가 놓으면 상향 전조등이 켜지면서 전조등 상향 표시등이 켜집니다.

상향 전조등은 마주 오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사용하십시오.

하이빔 보조 표시등

WL_HBALamp

하이빔 보조 표시등은 조명 스위치가 AUTO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조명 스위치를 클러스터 방향으로 밀면 켜집니다.

  • 흰색: 하이빔 보조가 켜진 상태(준비 상태)

  • 초록색: 하이빔 보조가 작동할 때

하이빔 보조 작동 상태에서는 마주 오는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이 감지되어 자동으로 전조등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전환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5장 내 '하이빔 보조 (HBA)'를 참고하십시오.

시동 대기 표시등 (LPI 차량)

WL_LPILamp

브레이크를 밟고 시동 버튼을 누르면 클러스터에 시동 대기 표시등이 켜졌다가 꺼집니다. 표시등이 꺼질 때까지 브레이크를 밟고 있으면 자동으로 시동이 걸립니다.

도어 열림 표시등

WL_DoorOpenWarning

도어가 열려 있거나 완전히 닫혀 있지 않으면 표시등이 켜집니다.

주행 전에 모든 도어가 완전히 닫히고 표시등이 없는지 확인한 후 출발하십시오.

도어 열림 표시등이 켜진 상태로 차량을 떠나면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습니다.

차량을 떠날 때는 반드시 도어를 완전히 닫으십시오.